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폐의 기능 / 통화란 무엇인가 / 통화지표와 유동성지표

by Wiblee 2022. 9. 27.

 

화폐의 기능

 화폐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교환의 매개
    2. 가치 저장
    3. 가치 척도
 

통화란 무엇인가

 통화는 경제 내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입니다. 통화의 총량을 통화량이라고 부릅니다. 통화지표는 통화량을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통화량의 범위는 좁게는 지폐와 주화만으로 볼 수도 있고, 넓게는 예금 및 금융상품까지 포함할 수 있습니다.

 

통화지표와 유동성지표

 IMF는 통화금융통계매뉴얼(2000)에서 통화지표인 협의통화(M1), 광의통화(M2), 유동성지표인 금융기관유동성(Lf), 광의유동성(L) 작성 시의 지침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협의통화(M1)는 화폐의 지급결제수단으로의 기능을 중시한 지표입니다. 민간이 보유한 현금 + 예금취급기관의 결제성예금(예금취급기관의 당좌예금, 보통예금 등 요구불예금과 저축예금, 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예금(MMDA) 등과 같은 수시입출식예금)을 더한 것으로 정의됩니다.

광의통화(M2)는 보다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입니다. 협의통화(M2) + 예금취급기관의 각종 저축성예금 + 시장형 금융상품(CP, RP, 표지어음) + 실적배당형 금융상품(MMF, CMA, 수익증권, 금전신탁) + 금융채 + 종합금융회사 발행어음 + 거주자외화예금 등을 더한 것입니다. 단, 유동성이 낮은 만기 2년 이상의 장기 금융상품은 제외합니다.

금융기관유동성(Lf)는 금융기관이 공급하는 유동성을 포괄하는 지표입니다. 광의통화(M2) + 만기 2년 이상 장기금융상품(정기예적금, 금전신탁, 금융채 등), 증권금융회사의 예수금 + 생명보험회사(우체국보험 포함)의 보험계약준비금 등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금융상품까지 포함합니다.

광의유동성(L)은 한 나라의 전체 유동성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금융기관유동성(Lf) + 정부 및 기업 등이 발행한 유동성 금융상품(기업어음, 회사채, 국공채 등)을 포함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