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금리가 인하되면 국채 ETF가 오른다는 말만 믿고 TIGER 미국30년국채 커버드콜 이라는 ETF를 샀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인하되어도 이 종목은 계속 하락만 하고 있습니다. 계속 마이너스가 나서 2025년에도 이 종목에 계속 투자할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미국 30년 국채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국채면 국채지 왜 30년일까요?
블룸버그에서 제공하는 시세표에는 미국 국채가 3·6·12개월·2·5·10·30년 이렇게 있는 걸로 봐서, 30년이 아마도 최장기인 것 같습니다. Treasury Bond라고 부르는 장기채인 겁니다.
ETF Check에서 국내 상장된 미국 국채 ETF 중에서 월배당 주는 것으로만 추려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OTHK/btsL31equOo/o2iabcIwMh6TWUr8kCmmc1/img.png)
TIGER 외에도 꽤 여러 종류가 나오는데 이 중에서도 연배당률이 9% 이상인 것만 꼽아본다면, 다음과 같겠네요. 높은 분배금을 제공하는 ETF는 전부 커버드콜입니다. 한국투자의 ACE만 미국국채 커버드콜이 없는 점이 특이하네요.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 / 연배당률 11.68%
-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 H) / 연배당률 9.04%
-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 연배당률 12.55%
- RISE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 연배당률 11.06%
위 중에서 제가 투자하고 있는 TIGER는 분배금은 많지만 주가가 떨어져서 마이너스가 많이 났습니다. 그래서 다른 것도 그런가 그래프를 살펴봤습니다.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
![](https://blog.kakaocdn.net/dn/eWGqUH/btsL4Mt1Gjp/ifYCERZY1CPP0inHV07sk0/img.png)
-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 H)
![](https://blog.kakaocdn.net/dn/blvN6b/btsL4ofZ6GP/y3QSTdhWXn4OgARyNCvxk1/img.png)
-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https://blog.kakaocdn.net/dn/cUcA4G/btsL4L2WXUX/HdmASJr8CM0K16BE1nmUYK/img.png)
- RISE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https://blog.kakaocdn.net/dn/lh1YA/btsL2JeERxg/JMtFCaGZSKKBlA3fAVOEX1/img.png)
여기서 생긴 의문점은, 같은 미국 30년 국채 커버드콜인데 왜 TIGER와 KODEX는 현 시점 꼬라박고 있고, SOL과 RISE는 우상향하는 모습인 건가입니다. 분배금 면에서도 SOL과 RISE가 전혀 뒤지지 않는데요. TIGER 대신 SOL이나 RISE를 했으면 지금쯤 마이너스가 아니라 플러스가 기록되었을 겁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각 ETF별 월간 운용보고서를 살펴보면서 기초지수로 삼고 있는 것이 서로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조금씩이라는 게 사실은 매우 큰 차이겠지요, 이렇게 성과가 다른 것을 보면요.
- TIGER : KEDI US Treasury 30Y Weekly Covered Call 30 Index
- KODEX : Bloomberg U.S.Treasury 20+ Year(TLT)+ 12% Premium Covered Call(Total Return)
- SOL : KEDI 미국국채20년+ 커버드콜지수(NTR)
- RISE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TLT) 2% OTM Coveredd Call Index
기초지수와 총보수율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4UMO/btsL4bHNKU2/moD1dDkvRoPZOniOfC89GK/img.png)
이름은 미국30년국채가 들어가서 같아보였지만, 사실은 각 ETF가 기초지수로 삼고 있는 게 달라 사실은 서로 다른 상품으로 보는 게 더 맞겠다는 판단.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논란중인 ISA, IRP, 연저펀의 외국납부세액 선환급 폐지 (0) | 2025.02.05 |
---|---|
외환 거시건전성 정책 / 스무딩 오퍼레이션이란 (0) | 2022.09.27 |
통화정책 운영체제 종류(물가안정목표제, 통화량목표제, 환율목표제) (0) | 2022.09.27 |
물가 뜻 / 물가안정 의미 / 기대인플레이션이란 (0)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