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요즘 논란중인 ISA, IRP, 연저펀의 외국납부세액 선환급 폐지

by Wiblee 2025. 2. 5.

요즘 연일 뉴스에 등장하는 ISA, IRP, 연금저축 혜택 종료와 이중과세 논란으로 시끌시끌합니다.

국내상장 해외투자 ETF에 투자할 때 누렸던 혜택이 축소될 것이라는 뉴스가 많이 떴습니다.

그동안 ISA, IRP, 연금저축에서 가장 큰 혜택으로 손꼽히던

'과세이연' 및 '저율과세'라는 장점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과세이연'이라는 부분을 생각해 봅시다.

원래는 국세청에 세금을 냈어야 하지만 당장 안 내고 나중에 낸다는 것인데

그동안 어떤 세금을 내야 했는데 안 내고 있었을까요?

 

크게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

그런데 금투세 폐지로 양도소득세는 대주주가 아닌 이상 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직까지 투자 시 내야 할 세금은 배당소득세밖에 없습니다.

 

배당소득세 종류를 나누어서 살펴볼까요?

1. 국내주식(개별주, ETF)에서 나오는 배당금, 분배금

2. 국내상장 해외투자 ETF에서 나오는 분배금

3. 국내상장 해외투자 ETF 매매차익(배당소득세로 간주됨)

 

이번에 논란이 된 부분은 2번입니다.

 

원래 국내상장 해외투자 ETF에서 나오는 배당금은 해외 현지 배당소득세를 미리 뗍니다(미국은 15%).

그러면 ETF 운용사에서 그 세금을 국세청에 신청해서 환급을 받습니다. 

그 다음에 계좌에 따라서 배당소득세를 다시 정산하는 거죠. 

일반계좌면 국내 배당소득세 15.4%(국세 14% + 지방세 1.4%)를 즉시 떼고,

ISA 계좌면 만기 시점에 저율로 9.9%를 떼고,

IRP, 연금저축 계좌면 연금수령 시점에 연금소득세(3.3%~5.5%)를 떼는 겁니다.

 

이렇게 한 이유는 이중과세를 피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해외 현지 배당소득세와 국내세금을 동시에 떼지 않기 위해서 

기존에는 해외 현지 배당소득세를 국세청에서 선환급해주고 나중에 국내 세금을 걷어간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폐지해버린 것이 바로 이 선환급해주는 부분입니다. 

2021년 세법이 개정되면서 3년 유예 기간이 있었지만,

불행하게도 아무도 예상을 하지 못했거나 뭔가 해결이 빨리 안 되었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ISA, IRP, 연저펀 투자자들은

국내상장 해외투자 ETF에서 나오는 분배금에 대해서 

내야 할 세금이 올해부터 늘게 되었습니다.

미국 투자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ISA는 원래 만기 시점에 9.9% 저율 과세를 했었는데, 이제는 바로 15% 원천징수

 2. IRP, 연저펀연금 수령 시점에 3.3~5.5% 저율 과세를 했었는데 이제는 바로 15% 원천징수

 

여기에 덧붙여 요즘 다들 우려하고 있는 ISA, IRP, 연금저축의 '이중과세'는

해외 세금도 내고 먼 훗날 국내 세금도 또 내야되는 것 아닌가에 대한 의문입니다.

그렇게 걱정하고 있는 이유는 이제부터는 계산이 상당히 복잡해질 것이라는 겁니다. 

 

시간이 지나면 투자 계좌에는 국내 투자, 해외 투자할 것 없이 마구 섞여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기존에는 연금이면 그냥 3.3%~5.5% 떼고,

ISA는 9.9% 떼는 식으로 세율 계산이 쉬워서 가능했을지 몰라도 

 

이제는 몇 년, 몇십년이 지난 후에 국내 세금을 정산하면서 

과거에 해외 현지에서 원천징수한 금액만을 발라내서 면제해줄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죠.

그리고 그런 시스템이 지금 갖추어져 있는가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과연 누가 몇 십년 간 그걸 다 기록하는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