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 요즘 논란중인 ISA, IRP, 연저펀의 외국납부세액 선환급 폐지 요즘 연일 뉴스에 등장하는 ISA, IRP, 연금저축 혜택 종료와 이중과세 논란으로 시끌시끌합니다.국내상장 해외투자 ETF에 투자할 때 누렸던 혜택이 축소될 것이라는 뉴스가 많이 떴습니다.그동안 ISA, IRP, 연금저축에서 가장 큰 혜택으로 손꼽히던'과세이연' 및 '저율과세'라는 장점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과세이연'이라는 부분을 생각해 봅시다.원래는 국세청에 세금을 냈어야 하지만 당장 안 내고 나중에 낸다는 것인데그동안 어떤 세금을 내야 했는데 안 내고 있었을까요? 크게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그런데 금투세 폐지로 양도소득세는 대주주가 아닌 이상 내지 않습니다.따라서 아직까지 투자 시 내야 할 세금은 배당소득세밖에 없습니다. 배당소득세 종류를 나누어서 살펴볼까요?1. 국내주식(개별주, ET.. 2025. 2. 5. 미국 30년 국채 ETF에 대한 고찰 저는 금리가 인하되면 국채 ETF가 오른다는 말만 믿고 TIGER 미국30년국채 커버드콜 이라는 ETF를 샀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인하되어도 이 종목은 계속 하락만 하고 있습니다. 계속 마이너스가 나서 2025년에도 이 종목에 계속 투자할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미국 30년 국채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국채면 국채지 왜 30년일까요? 블룸버그에서 제공하는 시세표에는 미국 국채가 3·6·12개월·2·5·10·30년 이렇게 있는 걸로 봐서, 30년이 아마도 최장기인 것 같습니다. Treasury Bond라고 부르는 장기채인 겁니다. ETF Check에서 국내 상장된 미국 국채 ETF 중에서 월배당 주는 것으로만 추려보았습니다.TIGER 외에도 꽤 여러 종류가 나오는데 이 중에서도.. 2025. 1. 31. 외환 거시건전성 정책 / 스무딩 오퍼레이션이란 외환 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외환 부문에 거시건전성 정책이 왜 필요할까요? 신흥국에 대한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될 경우에는 자본유출이 심화되면서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환부문 거시건전성 정책을 운영하면서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외환부문 거시건전성 제도는 크게 5가지로 분류됩니다. - 선물환포지션 한도제도 : 선물, 외환스왑, 통화스왑, 차액결제선물환 등 통화관련 파생상품 거래 포지션을 자기자본대비 일정수준으로 제한(2016년부터) - 외환건전성부담금제도 : 은행의 비예금성 외화부채를 대상으로 부담금 적용 - 외국인 채권투자에 대한 과세 : 내국인과 동일하게 이자소득 및 양도차익에 과세 - 외화 LCR 규제 : 향후 30일간 외화순현금 유출액대.. 2022. 9. 27. 통화정책 운영체제 종류(물가안정목표제, 통화량목표제, 환율목표제) 통화정책 운영체제의 종류 통화정책 운영체제에는 물가안정목표제, 통화량목표제, 환율목표제 등이 있습니다. 물가안정목표제 물가안정목표제는 물가상승 목표치를 미리 제시하는 제도입니다. 물가안정목표제 시행은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있는 상태여야 가능합니다. 또한 금융시장이 선진화되어 금리경로에 의한 정책효과가 원활히 파급되는 상태에서 가능합니다. 물가상승 목표치에 사용하는 대상지표로는 소비자물가지수, 근원물가지수,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소비자물가지수는 변동성이 크고 통화정책으로 통제 어렵다는 단점도 있지만 지표의 안정성, 포괄범위, 속보성, 높은 인지도 등 장점으로 가장 사용하기 좋은 지표로 평가됩니다.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후 물가 및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2022. 9. 27. 물가 뜻 / 물가안정 의미 / 기대인플레이션이란 물가란 무엇일까 국립국어원에서 정의한 '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건의 값. 여러 가지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종합적이고 평균적으로 본 개념이다. 물건의 평균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하면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물가안정을 도모하게 됩니다. 물가안정의 의미 물가안정이란 정성적인 의미로는 인플레이션의 변동성이 낮아 경제주체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물가를 주요 변수로 포함하지 않는 안정적인 수준을 말하며, 정량적으로는 2~3% 정도입니다. 여기서 인플레이션 목표를 제로(0)가 아닌 양(+)의 값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디플레이션이 올 경우 경기침체라는 심각한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 가능성을 줄이고 부정적 경기충격시 실질금리가 음(-)의 수준까지 가지 않도록 일종의 버퍼를 두는.. 2022. 9. 27. 이전 1 다음